반응형



JSP 태그 - 지시자


<%@ 지시자 속성="값" 속성="값"...%>



1. page

jsp page 속성을 정의한다.

<%@ page

      language="java"

     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

      pageEncoding="UTF-8" %>

(1) language : scriptlet, expression element, declaration element 작성 프로그래밍 언어. default는 java

(2) contentType : MIME Type 지정, charset : 문자 encoding, default는 'ISO-8859-1'

(3) pageEncoding : 문자 encoding, default는 'ISO-8859-1'


* MIME Type

HTTP 응답헤더 중 "Content-Type: text/html"값을 MIME Type이라고 부른다. 브라우저에게 서버가 보내는 데이터의 유형을 알려주는 값이라고 보면된다.

MIME Type List : http://www.sitepoint.com/web-foundations/mime-types-complete-list/


* contentType의 charset과 pageEncoding

둘 다 문자의 encoding을 지정하는데 차이가 뭘까?

① pageEncoding

webcontainer가 jsp페이지를 읽어들을 때 사용한다.

만약 pageEncoding 속성을 생략하면 contentType의 charset에 설정된 값을 사용하고, contentType 속성도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default값인 'ISO-8859-1'을 사용한다.

② contentType의 charset 값

jsp응답결과(출력)의 charSet을 지정한다. contentType이 MIME type을 지정하는거니까..


즉, jsp 파일은 euc-kr로 작성하고, 응답결과는 utf-8로 출력하고 싶다면

pageEncoding은 euc-kr로 지정하고, contentType의 charset은 UTF-8로 지정하면 된다!!


 

2. taglib

jsp에서 이용가능한 태그 라이브러리를 정의한다.

<%@ taglib tardir="/WEB-INF/tags/test" prefix="test" %>



3. include

변환 시점에 현재 페이지에 포함할 코드나 문서를 정의한다. 예를 들어, 페이지마다 공통으로 들어갈 헤더나 메뉴 정보같은 것들.

<%@ include file="testHeader.html" %>






반응형

'IT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SP 액션태그  (0) 2015.12.20
JSP 데이터 보관소  (0) 2015.12.20
JSP 전용태그  (0) 2015.12.19
JSP 내장객체  (0) 2015.12.19

+ Recent posts